구내염
고양이 구내염은 단순한 입안 염증이 아닙니다.
치은염, 치주염, 구강 점막염 등 복합적인 염증이
구강 전반에 걸쳐 지속되는 만성 질환으로,
고양이가 심한 통증과 불편감을 느끼게 됩니다.
사람의 구내염처럼 금방 낫는 병이 아니며, 치료 없이 방치하면
식욕저하, 체중감소,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
✔ 입을 잘 벌리지 않거나 하품 시 소리를 냄.
✔ 침을 흘리거나, 입 주위가 자주 젖음.
✔ 입 냄새가 심함(강한 구취).
✔ 식사 중 입을 자주 털거나 사료를 흘림.
✔ 구강 내 점막이 붉고 헐어있음.
✔ 구강 뒤쪽 뿐만 아니라 앞니나 어금니 주위 점막에
궤양이나 발적이 있음.
구내염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칼리시 바이러스 등의 만성 감염,
면역 매개성 염증(면역 체계의 과잉 반응)과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고, 다묘 가정의 경우 발병률이
단일묘 가정보다 7배 이상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전체 고양이의 0.7~12%에서 발생하며, 주로 3살 이상에서
호발하고, 주요증상은 구강 점막의 발적과 염증, 점막 비후,
궤양 및 극심한 통증입니다.
💡어떻게 진단하나요?
✔ 육안검사 : 구강 점막에 염증이나 궤양이 있는지 확인
✔ 조직 병리 검사 : 필요한 경우 시행
✔ 마취 후 정밀 진단 : 고양이가 입을 벌리는 것을
극도로 싫어하는 경우 필요
✔ 구내염은 구강 뒤쪽 점막에서 주로 나타나지만,
앞니나 송곳니 주변에서만 염증이 있는 형태도 있습니다.
💡치료 방법과 예후는 어떤가요?
스케일링과 양치질로는 일시적인 완화만 가능하며, 치아를 통해
지속적으로 염증이 자극되므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않습니다.
구내염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염증을 유발하는 치아의 발치이며,
논문에 따르면 발치 후 67.3%의 환자에서 구내염 병변이 완전히
사라졌다고 보고되었습니다. 발치 후 대부분의 고양이는 통증이
줄어들고, 식사도 훨씬 수월해집니다. 많은 보호자분들이
"좀 더 일찍 수술할 걸 그랬다"는 말씀을 하시곤 합니다.
구내염은 치료 시기를 놓치면 식도염까지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구내염 고양이의 98%가 식도염 동반)
💡보호자님께 드리는 조언
"잘 먹고 있는데 꼭 발치를 해야 하나요?"
라는 질문을 자주 받습니다.
하지만 고양이는 심한 통증을 참고 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희 메이는 정확한 진단과 설명 그리고 반려묘에게 가장
편안한 삶을 되돌려주는 치료를 약속드립니다.
💡메이의 차별화된 구내염 치료 철학
구내염의 정확한 분류와 정도를 평가하여 가장 적절한 치료방법을
제안하며, 통증 완화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최적의 시기와 범위로
발치를 시행합니다. 또한 발치 이후 더이상 외과적인 추가 치료가
필요하지 않도록 완벽하고 손상이 적은 발치를 목표로 합니다.
그리고 최근 문헌에 따르면 봉합사 매듭을 숨기는 봉합법이 기존의
봉합법에 비해서 고양이 환자에서 부종, 출혈, 궤양, 가장자리 발적,
구취, 통증, 삼출물 등 염증징후가 유의미하게 감소했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메이에서는 발치 이후 구내염 환자의 편안한 회복과
봉합사 매듭 주변에 끼게 되는 털, 음식물, 플라그 등의 면역반응 유발
요소를 최소화 함으로써 구내염 반응을 최대한 억제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