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진 소개 


그림1.jpg
안녕하세요. 동물치과병원메이 원장
권대현 수의사입니다.

 1999년 수의대를 졸업하고, 선택할 수 있던 진로들 중에 반려동물
​임상수의사를 선택하고 한길을 걸어온 지 20년이 넘었습니다.
 그 시간동안 반려동물들의 다양한 질병을 접하고, 상담하고 치료하면서 한걸음 한걸음 경험과 지식을 쌓으며 그들의 질병만을 바라보는 수의사가 아니라, 치료받는 “반려동물”과 그들의 “보호자”그리고 치료하는 “수의사”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교집합의 범위를 가장 넓힐 수 있는 주치의가 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그러한 노력 속에서 “수의치과학”을 공부하기 시작하고, 수의치과/구강외과 진료에 매진해 온 지도 벌써 17년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수의치과학은 사람의 치의학에 근간을 두고 발전해 온 학문입니다. 그러나 분명 해부학적 구조가 다르고, 행동양식과 생활환경 및 식이가 다른, 사람과는 분명히 차별화 되는 대상(반려동물)의 구강내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독립적인 학문입니다. 수의치과학의 최고의 명제는 최소한의 마취로 반려동물의 통증과 불편함을 개선하고 효과적인 관리로 오랫동안 건강한 구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있습니다. 그러므로 미용적인 관점이나 수의치과학에서 검증되지 않은 치료 술식들은 반려동물들에게 도움이 될 수 없습니다.
 
“동물치과병원메이”는 언제나 반려동물과 그 보호자 분들에게 가장 합리적인 치료가 될 수 있도록 수의치과학을 연구하고 공부하고 준비합니다. 최고가 되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최선과 진심 그리고 정성을 다하는 수의치과병원이고자 합니다. 반려동물과 그 가족 모두가 건강한 삶을 즐기는 그날까지 함께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년 5월 8일 동물치과병원메이 원장 권대현




수의외과학 석사 – 치과/구강외과 전공
수의외과학 박사 수료 – 치과/구강외과 전공
한국수의치과협회(KVDS) 부회장
미국수의치과협회(AVDS) 정회원
​​ 
2022 ~    현재 동물치과병원메이 원장(강남)
2012~2022    동물병원메이 원장(한남) : 치과/구강외과 중점 진료
2007~2012    마리동물병원 원장 : 치과/구강외과 전담
2002~2007    청화동물병원 부원장 : 외국인 전담 진료
2000    삿뽀로 의과대학 임상해부학교실 방문연구원
2000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임상조교





• 2011 WSAVA에서 수의치과 poster발표
• 2012 Shoreline Veterinary Dental Clinic(Seattle) 연수
• 2015 American Veterinary Dental Forum에서
수의치과 교정 poster발표
• 2015 University of Pennsylvania 수의치과 & 구강외과 교실 연수
• 2015 미국 NAVC 수의 구강외과 전문가 과정 수료





<   출판된 SCI 저널  >
 
 Prevalence of Reasons for Tooth Extraction in Small- and Medium-Breed Dogs
    Chun-Geun Kim†, Daehyun Kwon†, Kyuyoung Lee,
Se Eun Kim, and Hyun Min Jo
     †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Animals 2025, 15, 224. https://doi.org/ 10.3390/ani15020224

 Fusobacterium nucleatum and Treponema denticola are robust biomarkers for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in small dogs.
     Kwon D, Bae K, Jang K, Jo HM, Kang SS, Byun J, & Kim SE.
     Frontiers in Veterinary Science, 2025 Jan;11: 1515521. doi: 10.3389/fvets.2024.1515521

 Outcomes of root canal treatments with three different sealers for 120 fractured maxillary fourth premolar teeth in small-to medium-sized dogs
    Kwon D, Yoo DS, Kang SS, Jang K, Kim SE
    Front. Vet. Sci. 2024 May;11:1382645. doi: 10.3389/fvets.2024.1382645

 A novel acrylic orthodontic device for treatment of linguoverted mandibular canine teeth in small dogs.
    Kwon D, Jang K, Chae Y, Yang E, Kang SS, Kim SE
    Can Vet J. 2024 May;65(5):443-450. PMID: 38694731; PMCID: PMC11017943.
 
 Treponema denticola as a prognostic biomarker for periodontitis in dogs.
Kwon D, Bae K, Kim H, Kim SH, Lee D, Lee JH.
PLoS One. 2022 Jan 21;17(1):e0262859.
doi: 10.1371/journal.pone.0262859.

 Effectiveness of Tramadol and Butorphanol as an Adjuvant to Local Anesthetic in Mandibular Nerve Block in Beagle Dogs.
Sang Seon Jang, Hyeonjo Kim, Dae Hyun Kwon, Eunchae Yoon, Dongbin Lee, Jae-Hoon Lee

 Location of the ventral margin of the paracaval portion of the caudate lobe of the human liver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onfiguration of hepatic portal vein branches.
Kwon D, Murakami G, Hata F, Wang HJ, Chung MS, Hirata K.
Clin Anat. 2002 Nov;15(6):387-401. doi: 10.1002/ca.10055.

 Ventral margin of the paracaval portion
of human caudate lobe.
    Kwon D, Murakami G, Wang HJ, Chung MS, Hata F, Hirata K.
    Journal of hepato-biliary-pancreatic surgery,
2001: 8, 148-153